서블릿....jsp:include와 <% include%>의 차이는?
I. <jsp:include>
1. 설명
-. 서버측 include가 아닌 클라이언트측의 include라 생각하면 간단하다
즉 출력 결과만(html코드)을 include (뜻 : 포함) 한다
-. include 되는 페이지와 변수를 같이 사용할 수 없다
2. 속성
① page
-. 포함시키고자 하는 문서의 위치를 명시한다
-. 상대경로뿐만 아니라 절대경로도 가능하다
-. 서블릿 컨테이너에 따라 HTML 페이지는 안될 수도 있다
-. get 방식으로 파라미터를 전달 할수 없다
-. 동적으로 페이지 할당이 가능하다
즉 <jsp:include page="<%=variable%>" flush="true"/> 가 가능하다
② flush
-. true : 문서의 출력 결과를 항상 버퍼내에서 갱신 하라는 의미이다
3. 예제
a.jsp
...
<jsp:include page="b.jsp" flush="true"/>
...
a.jsp 결과에 b.jsp 가 실행된 결과가 include 된다
즉 따로따로 실행 된 후 그 결과(html)만을 가지고 include 한다
II. <%@ include %>
1. 설명
-. 서버측 include 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소스 실행전에 include가 된다고 보자
-. 소스 실행전 포함됨으로 변수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동적으로 페이지 할당을 할 수가 없다
2. 속성
① file
-. 포함될 페이지를 명시한다
3. 예제
a.jsp
...
<%@ include file="b.jsp" %>
...
b.jsp 코드자체가 a.jsp에 포함된 후 실행된다.
jsp:include
<jsp:include page="/xxx.jsp" />
1. 요청시간에 처리
2. 별도의 파일로 요청 처리 흐름을 이동
3. 화면 레이아웃의 일부분을 모듈화 할 때 주로 사용된다.
@include
디렉티브
1. JSP파일을 자바 소스로 변환할 때 처리
2. 현재 파일에 삽입시킴
연결된 파일을 포함해서 같이 컴파일 한다.
include 지시어는 다른 JSP의 소스 코드를 해당 JSP에 그대로 포함시킨다
반면에 액션 태그의 <jsp:include> 태그는 다른 JSP의 소스 코드가 아니라,
다른 JSP의 실행 결과값을 해당 JSP 페이지에 포함시킨다.
또한, include는 주로 조각난 코드를 삽입을 하고자 할때 사용되고,
<jsp:include> 액션 태그는 페이지를 모듈화할때 사용된다.
즉 템플릿 페이지를 작성할때 사용된다.
<!--
정적인 페이지 할 때 사용한다.>
-->
<%@ include file="/include/top.jsp" %>
<hr></hr>
index.jsp입니다.<br></br><br></br>
<hr></hr>
<%@ include file="/include/bottom.jsp" %>
=============================================================================
<%--
동적인 페이지 할 때 사용한다.
--%>
<jsp:include page="top.jsp">
<jsp:param value="ok" name="flag"/>
</jsp:include>
<hr></hr>
main.jsp....
<hr></hr>
<jsp:include page="bottom.jsp"></jsp:include>
name - 이동할 페이지에 전달될 파라미터의 이름 ( 표현식 사용 불가 )
value - 이동할 페이지에 전달될 파라미터의 값( 표현식 사용 가능 )
받는곳에서 request.getParameter("flag");로 받는다.
=============================================================================
JSP내의 Java Code를 Designer나 HTML Coder가 보기쉽고(?), 수정하기 쉽게(?) Java Code를 HTML Tag과 같은 Tag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JSP Custom Tag.
그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Tag인 <jsp:include /> 하지만 이 <jsp:include /> Tag의 단점은 원격지의 JSP 페이지를 include 할 수 없는데 있다.
이처럼 <jsp:include /> Tag로 할 수 없는 것을 <c:import /> Tag는 가능하게 해준다.
그럼.. 어떻게 사용하는가?
우선... 아래의 URL에서 Taglib를 다운 받는다.
http://people.apache.org/builds/jakarta-taglibs/nightly/projects/standard/
에서 JSP 버전에 맞는 Taglib 를 다운 받는다.
다운 받은 파일을 압축을 풀면... 4개의 (doc, javadoc, lib, tld) 디렉토리와, LICENSE, NOTICE, README 파일 그리고 2개의 WAR 파일이 있다.
우리가 필요한건... 다름아닌... lib 폴더 아래의 jstl.jar , standard.jar 이다.
이 두개의 jar 파일을 적용하고자 하는 JSP의 Container (WAS)의 /WEB-INF/lib/에 복사한다.
그리고는... JSP페이지에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을 추가하고,
<c:import />를 Tag를 사용하면 된다.
예)
<%
String url = http://xxx.xxx.xxx.xxx/naver/test.jsp;
%>
<c:import url="<%= url %>" charEncoding="EUC-KR">
<c:param name="query" value="민원" />
<c:param name="method" value="get" />
</c:import>
위와 같이 사용하면 원격지의 WEB 페이지를 include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런거 초보는 잘까먹는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