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하기...

id, pwd받기.

매핑으로 확인하기.

불러오기.

로그인 정보 세션 저장

에러발생시 model로 처리함..... 에러페이지 및 예외처리 진행

로그인 성공시 화면에 표시하기.

로그아웃진행

 

로그인하기...

화면단 구성하고..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 member/login.kh로 간다.

 

id, pwd받기.//매핑으로 확인하기.//불러오기.까지

로그인 정보 세션 저장

에러발생시 model로 처리함..... 에러페이지 및 예외처리 진행

두고두고 써먹는 errorPage

로그인 성공시 화면에 표시하기.

CONTROLLER에서 INPUT값을 받아와서 MEMBER 클래스의 변수와 일치시켜 가져왔다면

@ModelAttribute  틍해서는 한줄에 다 할수 있음....대신, input name명과 클래스 변수 명이 일치해야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값을 반영하지 못함....

session도 속성값으로 멤버 객체를 넣어서 전달하여  로그인전후 여부 화면표시를 했는데...

c :if문 사용할때 주의사항 다시한번 체크하고... 

사용시 구문2로 배움...

          loginUser 객체가 빈값일때    // 빈값이 아닐때

1. empry loginUser                            //  not empry loginUser 

2.  sessionScope.loginUser eq null  // sessionScope.loginUser ne null

지금은 생각할게 많은 스프링이지만 익숙만 해지면 확실히 기재할것이 많이 줄어드는 것 같다.

 

로그아웃진행

로그아웃 하면 간단히 앞 화면으로 돌아간다...

HttpServletRequest request
,Model model 매개변수 처럼 가져와서 써야 한다는 것/////지지난주 배운 의존관계...ㅋㅋ

1.Invalidate : 영어의 의미로는 무효화 시키다 라는 뜻  // 화면전체를 재표시하라는 것임....

2.sessionScope : 세션에서 설정해주었던 Attribute값을 jsp에서 jstl로  간단히 사용할때...

앞서서 공부했던 sesstion 재탕하면...클라우드가 요청한 로그인 정보를 session은 계속 갖고 있고 브라우저 닫을때 까지 사용한다. 이때 SessionScope에서는 session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객체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

             sessionScope.loginUser//  sessionScope.loginUser.memberName이 그래서 쓰인것임.

////////////////////////////////////////////22.10.29

기존의 게시판 만드는 것을 복습했다.

왜케 다 새로운지 모르겠다... 게시판 올리는데 한글이 깨진다.....기록해 뒀더니 이런건 찾을 수 있어서 좋은데

예전엔 그냥 이미지파일로 올렸떠니 복붙이 안되서 수정한다...

참고로 WEB.XML파일이다....맨밑에다가 추가한다.

	<!--한글깨짐 필터 설정  -->
	<filter>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 오타나면 안되니깐......ㅋㅋ

한글안깨지게 하는 방법

한글을 깨지지 않게 하는 것은 기존에는 servlet에서 진행해으나

이제는 매핑하여 진행했다.

필터라는 개념으로 url로 접속하는 것은 이필터라는 것을 거치기 때문에

자동으로 한글은 utf-8 적용을 받는다.

예전엔 이런 방식으로 반복해서 기술했줬다면........

한번에 적용하여 이후로는 신경안써도 되니깐 편해졌다....

 

미리 변경해야 할것들이 있다. 이게 되어야 나중 인터페이스 SqlSession 진행 됨...

자바 버전과 스프링 버전 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변경해야함.

 

2곳 버전 변경부터 1차 한다.

 

2차..파일 관련 설정...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s://maven.apache.org/maven-v4_0_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com.kh</groupId>
<artifactId>junspring</artifactId>
<name>04_SpringMVC</name>
<packaging>war</packaging>
<version>1.0.0-BUILD-SNAPSHOT</version>
<properties>
<java-version>1.8</java-version>
<org.springframework-version>5.1.18.RELEASE</org.springframework-version>
<org.aspectj-version>1.6.10</org.aspectj-version>
<org.slf4j-version>1.6.6</org.slf4j-version>
</properties>
<!--1. ojdbc6.jar//2.mybatis //3.spring-mybatis //4.spring-jdbc//5.common-dbcp  -->
<!--spring을 할때 선 설치해야할 파일들  -->

<repositories><!--ojdbc6는 버전상 원격저장소에 파일 없어서 별도 기재한것임...여기서 받겠다는 것으로 기존의   https://mvnrepository.com 그냥하면 안됨 -->
<repository>
<id>OJDBC repo</id>
<url>http://www.datanucleus.org/downloads/maven2/</url>
</repository>
</repositories>
<dependencies>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oracle.database.jdbc/ojdbc6 -->
<dependency>
    <groupId>oracle</groupId>      <!--  <groupId>com.oracle.database.jdbc</groupId> 원격저장소에 파일없음-->
    <artifactId>ojdbc6</artifactId>
    <version>11.2.0.3</version>  //버전 11.2.0.3으로 변경해야 함.
</dependency>

<!-- 2번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mybatis/mybatis -->
<dependency>
    <groupId>org.mybatis</groupId>
    <artifactId>mybatis</artifactId>
    <version>3.5.6</version>
</dependency>
<!-- 3번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mybatis/mybatis-spring -->
<dependency>
    <groupId>org.mybatis</groupId>
    <artifactId>mybatis-spring</artifactId>
    <version>1.3.2</version>
</dependency>



<!-- 커넥션 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
<!--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란? (DBCP)
DB연결이 필요할 때마다 생성하여 접속하는것이 아니라
Connection Pool에 연결을 생성하여 놓고 재사용하는 방식 
-->
<!-- 5번임.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mons-dbcp/commons-dbcp -->
<dependency>
    <groupId>commons-dbcp</groupId>
    <artifactId>commons-dbcp</artifactId>
    <version>1.4</version>
</dependency>
<!-- 4번. Spring jdbc 이건 기존걸 수정한것임-->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jdbc</artifactId>
<version>${org.springframework-version}</version>  <!--위에 스프링 버전이 바뀌면 차후 수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
<exclusions>
<!-- Exclude Commons Logging in favor of SLF4j -->
<exclusion>
<groupId>commons-logging</groupId>
<artifactId>commons-logging</artifactId>
 </exclusion>
</exclusions>
</dependency>

 

이러게 많은 애들이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한것이

1. Spring MVC 프로젝트 생성 2. pom.xml에 ojdbc6, mybatis, mybatis-spring, spring-jdbc, common-dbcp 추가  3. ojdbc6할때에 repositories - repository 추가 후 dependency 작성

오늘 날짜 출력하기...

서버주소에 /만 포함하면

web.xml 1차 가고  매핑에 따라 . servlet의 appServlet-context.xml rksek.

 

value값 /을 진행하여 결과 home를 받음

 

마지막 home.jsp 로 간다.

출력된다.

spring-context.xml만들때 체크하여 만들어야함.....

만들때 2가지가 달랐음...

어노테이션 같고 하는 방법....

프로젝트 만들때.........spring Legacy Project로 해야한다.
일단 자바로 프로젝트 만들고
스프링 파일로 변경진행을 한다.

bean을 사용하기위해 선작업

ㅇㄹㅇㄹ

dependencies 태크안에 dependency를 만들수 있어서 복사 붙여넣기 한다...

자동으로 스프링 프레임 context가 다운된다.... 

업데이트를 해야 정상적으로 스프링을 작업할수 있는 파일로 변환됨.////꼭해줘야 한다.

이러면 컨트롤러 에게 bean 가져다 쓰라고 하는 것이다.

src에 스프링 파일.... 빈 bean을 사용할수 있도록 설정해준다.

이클립스....help.가서 

 

 

인스톨하다가 안된다고 worm뜨면...그냥 진행해라......

그다음에 또 나오는데....갭쳐 놓침...그냥 진행하면 됨
이것까지 하면 이클립스재부팅한다.

메이븐 깔기. 

repository 폴더는 메이븐을 통해 관리할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될 경로이다.

conf>> settings.xml 파일 열람 후 에 localRepository 분을 찾아 주석 바깥으로 뺀뒤,

저장소로 이용하고자 하는 폴더로 설정한다.

그런데 저상태에서 편집이 안되서 다시 파일 닫고 파일 선택해서 우클릭 편집으로 선택했더니.

편집할수 있게 나오고면서 교재와 편집점이 같아졌다...
용기있게 --> 위치변경하고 저장소 위치를 아까 만든 폴더 주소를 너어준다.

이제 이클립스와 메이븐의 java버전 일치 시키기 위해 이클립스 내장 버전이 아닌 현재 설치된 자바 버전을 인식하다록 elipse.ini설정 파일 정보에 해당 내용추가하고 이클립스 재실행 한다.

내컴에 설치된 이클립스폴더에 저런게 있다.

 

파일을 열면 나온다...교재에 있는 대로 일단 기재.........무섭다.....
있긴 있다....이런파일이...
스프링 설치되었나 확인.....

이클립스 재시작하고 이클립스의 저장경로변경//////파일>>switch workspace 로 변경했다...

이클립스 재시작하면 window>> Preferences>>Maven>>User Settings>> User Settings의 저장소위치를 아까 설치한 메이븐의 settings.xml로 바꾼다 ....메이븐을 연동시키는 것이다.//하단에 repository 경로가 바뀌었는지 확인하고 종료//

메이븐 사용할경우 프로젝트 컴파일 시 target/classes안에 컴파일 된 클래스 파일이 위치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maven clean옵션을 사용하면 제거되지만 이후 형상관리를 위해 프로젝트를 공유할 시 컴파일 된 결과까지 공유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target폴더를 공유 목록에서 제외하는 Ignore(무시하다)작업을 설정하자.

 

window> preferences> encdoing 입력후 encoding을  utf-8로 변경////colors도 font 변경 및 syntax coloring 에서 java class 색 변경

+ Recent posts